로고

천안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
로그인
  • 프로그램신청
  • 프로그램참여후기
  • 프로그램신청

    천안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 프로그램 참여후기

    프로그램참여후기

    천안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 프로그램 참여후기

    신천지게임 하는방법 ┢ 카카오야마토먹튀 ┢

    페이지 정보

    작성자 곡병린사 댓글 0건 조회Hit 89회 작성일Date 25-09-07 21:23

    본문

    온라인릴게임사이트 ┢ 한게임바둑이 ┢‡ 78.rqc912.top ┕미국 펄벅재단의 '영향력 있는 여성상'을 수상한 인순이 씨가 지난 4일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있는 본인의 작업실에서 매일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한주형 기자


    국민 가수 인순이(본명 김인순·68)에게 '1208'은 평생 잊을 수 없는 숫자다. 어린 시절 집안이 무척이나 가난했던 '소녀 인순이'는 펄벅재단의 후원을 받아 겨우 학비를 낼 수 있었다. 한 달에 한 번 재단의 버스가 오면 키와 몸무게를 재고 후원금을 받아 집에 돌아왔다. 1208은 당시 펄벅재단이 인순이에게 부여한 후원번호였다. 기나긴 세월이 흘러 인순이 씨는 국제 아동 인권 비영리재단인 '펄벅인터내셔널'이 주는 '영향력 있는 여성상' 2025년 수상자로 선정됐다. 인순이 씨의 이번 수상 기업회생 은 '펄벅재단 후원 아동이 수상자가 된 첫 사례'다.
    지난달 말 미국에서 열린 시상식을 마치고 돌아온 인순이 씨는 최근 본인의 성수동 작업실에서 진행된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대한민국에서 다른 모습으로 태어난 나는 꿈이 어떻고 성공이 어떻고 생각할 겨를도 없었다. 최선을 다해 내 인생을 살아나가려고 했을 뿐인데 이런 순간은 정말 상상하지 가실게요 도 못했다"며 수상 소감을 밝혔다.
    인순이 씨가 올해 수상자로 선정된 배경으로는 2013년 다문화가정 아이를 위한 대안학교 해밀을 설립한 게 주요하게 작용했다. 해밀학교는 미국 흑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혼혈로 태어난 그가 혼혈 아이들의 아픔을 다독이고 올바르게 성장하도록 이끌기 위해 사비를 털어 강원도 홍천에 설립한 학교다. 4대보험 가입기간 인순이 씨는 현재 해밀학교 이사장을 맡고 있다.



    인순이 씨는 지난달 21일(현지시간) 펄벅재단 본부가 있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벅스 카운티 퍼커시에서 개최된 시상식에서 "용감한 나라의 아버지를 주시고 동트는 나라의 어머니를 주신 것에 대해 감사하다. 이제야 내가 아버지의 나라에서 전세 도 인정받은 것 같다"며 눈물을 흘렸다. 시상식에는 인순이 씨의 외동딸 박세인 씨도 동행했다.
    인순이 씨는 자신의 사춘기는 남들보다 유독 춥고 길었다고 회상한다. 그는 "나의 아픔을 누군가가 또 겪는다면 힘이 되어 주고 싶었다"며 "많은 사람의 도움을 받아 성공하게 됐으니 감사할 따름이고 학교를 세운 것도 내가 받은 걸 되돌려주고 싶어서 차량유지비규정 내린 결정이었다"고 말했다.
    올해로 설립 13년 차를 맞는 해밀학교는 전액 무료로 운영된다. 국가 지원이 일부 있지만 대부분은 후원금과 인순이 씨의 사재로 운영된다. 학교 운영비가 만만치 않다 보니 인순이 씨는 12년 넘게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학교 설립 이후로는 휴가도 제대로 못 가고 스타일리스트 쓸 비용도 아껴가며 행사를 뛰고 있다. 현재 약 600명인 후원자를 1000명까지 늘리는 게 꿈이라는 인순이 씨는 "그만둘까 고민도 수없이 하지만 그때마다 기적처럼 후원의 손길이 이어진다"며 "학교에 가서 아이들의 웃는 얼굴을 보면 고생했던 기억은 한순간에 씻겨 나간다"며 웃었다.
    설립 당시 재학생 6명으로 출발한 학교는 현재 전교생이 56명에 달한다. 졸업생도 100명을 배출했다. 가장 기억에 남는 졸업생으로는 교대에 진학한 학생을 꼽았다. 인순이 씨는 "고려인 3세 엄마를 둔 아이로 한국말도 어눌했는데 해밀학교를 졸업한 후에 외고와 교대에 진학했다"며 "이곳에서 따뜻함을 받은 아이가 교사가 된다면 제자들에게도 따뜻함을 나눠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해밀학교 설립자로서 그의 목표는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친정엄마'가 되는 것이다. 그는 "나는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다"며 "내가 살아온 길을 아이들에게 보여주면서 '나는 이렇게 살아왔는데 이렇게 사는 것도 괜찮더라'라고 한마디 해주는 것만으로도 아이들에겐 힘이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아이 156명을 키우면서 인순이가 바라는 것은 딱 한 가지. 후원받던 '1208번 소녀'가 후원자로 성장한 것처럼, 아이들 역시 받았던 도움을 되돌려주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그는 "아이들이 힘들었던 적이 있기 때문에 어려운 사람을 보면 그냥 지나치지 않는 어른이 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과거의 자신처럼 길을 잃고 방황하는 다문화 아이들에게 인순이 씨가 남기고 싶은 말은 무엇일까.
    "세상을 살아간다는 건 힘든 일이지만 살아볼 만한 가치가 있는 것 같아. 내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심사숙고하고 길을 잘 찾는다면 네가 원하는 그 방향으로 갈 수 있어. 한번 살아보자. 그리고 함께 견뎌내보고 버텨보자."
    소설 '대지'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미국 소설가 펄 벅은 1965년 한국 전쟁고아와 혼혈 아동 등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펄벅재단을 설립했다. 1967년 부천 심곡동에 사회복지시설인 소사희망원을 설립해 직접 이들을 돌보고 교육시켰다. 1973년 그가 생을 마감하면서 소사희망원도 1975년 문을 닫았다. 펄벅인터내셔널의 영향력 있는 여성상은 이 같은 벅의 정신을 기리고자 1978년 제정됐다. 벅은 한국 혼혈아를 다룬 소설 '새해'를 남기기도 했다.
    [김재현 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